ㅁ [동향] 미국 휘발유 가격은 국제유가와 달리 연초부터 우상향 흐름을 보이며 최근 10개월래
최고 수준으로 상승. 국제유가와의 스프레드는 11년래 최대로 확대
ㅇ 8월까지 휘발유 선물가격은 전년말 대비 12% 상승. 반면 WTI는 4% 상승에 그치면서
휘발유 가격과의 차이는 $30 이상으로 확대(7.28일 최대 $43.83로 확대)
ㅁ [배경] ▲예상치 못한 정유공장 가동 중단 ▲정유능력 정체ㆍ생산비용 증가 ▲재고 부족 등
공급측 요인에 주로 기인하며, 수요측 요인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
ㅇ예상치 못한 정유공장 가동 중단: 정유시설이 밀집된 미국 걸프해안을 중심으로 폭염ㆍ
화재 등에 따른 가동중단 및 시설보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며 휘발유 생산에 차질
ㅇ 정유능력 정체 및 생산비용 증가: 투자부진 등으로 정유능력(refinery capacity)이
아직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환경기준 강화로 생산비용도 증가
ㅇ 재고부족: 수출 큰 폭 확대, 생산 차질 등으로 미국 휘발유 재고가 지난 2월초 2.42억
배럴에서 8월말 2.17억배럴로 감소하며 과거 5년 평균을 5% 하회
ㅁ [전망] 계절적으로 미국 휘발유 가격의 상승압력은 둔화될 수 있으나, 공급측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하방경직성이 유지될 전망. 강한 허리케인 등 돌발변수 발생 또는 국제유가
강세 심화 등의 경우에는 미국 휘발유 가격 상승세가 재개될 소지
ㅇ 최근 주요 정유사들이 9월 중순~11월 중순 정기보수를 발표함에 따라 일일 50만배럴
규모의 설비가 가동 중단되고, 재고 수준도 예년 대비 낮은 상황이므로 휘발유 가격의
하단이 지지될 전망
ㅇ 본격적인 허리케인 시즌에 돌입하는 가운데 고강도 허리케인 발생 시 일시적으로
휘발유 수급불균형이 심화되면서 가격 상승압력이 확대될 소지. 국제유가 상승세
강화 가능성도 휘발유 가격 강세 요인
ㅁ [시사점] 물가지표에 대한 영향력이 상당한 미국 휘발유 가격의 강세가 이어질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부각되고, ‘data dependent’를 강조하는 연준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ㅇ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이 제한되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진정세가 지속 되어야 하며,
이는 휘발유 등 원자재 가격이 좌우할 전망
관련보고서
작성자
황유선
종합기획분석실
최근 발간 보고서
최근 발간된 보고서가 없습니다.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CIF 서비스 안내
본 자료는 유료회원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귀하께서 이용하실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제외)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