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수년간 비은행 금융부문*에서의 각종 불안으로 인해 글로벌 차원**에서
비은행 금융부문 레버리지 및 리스크에 대한 조사·관리가 강화되는 움직임 * 공식적인 명칭은 비은행 금융중개(Non-Bank Financial Intermediation, NBFI)로,
중앙은행, 은행, 공적금융기관을 제외한 모든 금융기관들을 의미. `18년 이전에는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이라는 용어를 사용
** 금융안정위원회(FSB)는 비은행 금융부문의 리스크를 조사·관리하기 위해 주제별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기반한 연구 및 정책제언 개발을 진행 중
ㅁ [분류] 비은행 금융부문의 레버리지는 활용 형태 및 부외 금융 여부에 따라 4가지로 구분
ㅁ [현황] 글로벌 비은행 금융부문의 부채는 상당하며 가계 부문 부채와 비슷한 규모.
특히 대부분의 레버리지가 기타 금융중개기관(Other financial intermediaries)에
집중된 점이 우려
ㅁ [섹터별 리스크] ▲헤지펀드: 일부 高레버리지 전략들이 충격에 취약할 수 있으며,
위기 시 거래상대방(프라임브로커)으로 충격이 전이될 리스크
▲장기투자기관(연기금 등): 고레버리지 +집중 투자 시 대량 급매(firesale) 리스크에 취약
▲패밀리오피스: 관련 정보 부족이 문제
ㅁ [시사점] 글로벌 전체적으로 볼 때 은행 부문에 비해 비은행 금융부문에 대한 레버리지
및 리스크 관리가 상대적으로 부족. 향후 비은행 금융부문과 관련한 자료 보완 및
규제 정비 흐름이 지속될 전망
관련보고서
작성자
강봉주
종합기획분석실
최근 발간 보고서
최근 발간된 보고서가 없습니다.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CIF 서비스 안내
본 자료는 유료회원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귀하께서 이용하실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제외)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